yuriwoo16@gmail.com 01075570735
AI One Portal
Client
SKT
Services
PC Web
Industries
AI
Role
UX Strategy (80%)
UI Design (50%)
Date
2024/08~10 (3months)

AI One은 AI 서비스 개발을 위한 AI 올인원 플랫폼
서비스를 개발하는 사내 구성원을 위해 AI 기능 적용에 필요한 다양한 AI 모델과 활용 도구를 제공하는 올인원 포털입니다. SKT의 모든 서비스 개발 구성원은 AI One을 통해 AI 모델을 튜닝하고 테스트하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나아가 외부 파트너사와 기업 고객을 위한 B2B 개발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여 SKT의 AI 기술 역량을 확장하고, B2B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며 협력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 미션
사내 개발자, 기획자,디자이너가 다양한 AI 모델을 튜닝하고 테스트하여 SK 서비스에 최적화된 AI 솔루션을 구현
AI 기술이 급부상하며 산업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 잡은 가운데, SK는 AI를 활용한 차별화된 서비스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AIX* 가속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내부 구성원이 AI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였습니다.
* AIX : AI Transformation의 약자로 기업의 본질 향상을 위해 AI을 도입하여 사업 성과를 향상시키는 것
진행 기간
24년 8월~24년 10월까지 약 3개월 동안 진행
기대 효과
누구나 손쉽게 서비스에 적합한 AI를 생성하고 커스텀, 테스트하며 활용할 수 있다.
운영자는 전체 AI 모델의 현황과 상용 승인을 통해 AI 품질을 보장한다.
회사는 서비스별 AI 반영 비율을 높여 AI 사업 성과를 강화할 수 있다.

2. 문제 정의
클라이언트와 현업 실무자 인터뷰를 진행하여 AI One Portal의 현 상황과 니즈를 파악
AI, 낯설음이 장벽이 되다.
"AI를 써본 적은 있지만,
내가 직접 만든다니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어"사내 서비스 개발자들은 AI 기술 활용 경험이 거의 없었습니다. 대다수의 타겟 사용자군은 비개발자(기획자, 디자이너 등)로 이루어져 있어 기술의 난이도와 도입 과정에서 큰 심리적, 실무적 부담을 느꼈습니다. AI 기술을 기존 서비스에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에 대한 초기 시작 단계의 경험이 중요한 UX 이슈로 떠올랐습니다.
짧은 일정 속, 명확한 UX 방향성 부재
"협업자들마다 이해도가 너무 달라서 대화를 어디서부터 맞춰야 할지 막막해."
"AI를 이해하기도 어려운데, 어떤 방향으로 서비스를 만들어야 할지 감이 안 잡혀."프로젝트 초기, 짧은 일정과 제한된 리소스 속에서 1차 릴리즈는 서비스 소개와 가입 유도에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AI 기술 도입과 사용자 가치를 고려한 명확한 UX 방향성을 정의하지 못했고, 팀 간 목표 합의도 부족한 상태였습니다.
AI 서비스별 체계적 운영 관리의 필요성 대두
"서비스에 빠르게 AI를 도입해서 서비스 경쟁력을 높이는 게 시급해."
"회사 입장에서는 AI 품질을 꾸준히 유지하는 게 가장 중요한 과제야."AI 모델 관리 기능은 전체 서비스의 AI 품질을 유지하고 지원하기 위해 운영의 핵심 요소로 부각되었습니다. 서비스별 모델 사용 현황과 비용 적합성을 점검하며,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운영 시스템의 필요성이 명확해졌습니다.

3. 가설 / 전략
가설 1
2) 타겟 사용자의 AI 사용 수준을 고려하여 ‘초심자’ 중심의 UX 컨셉을 정의하였습니다.

가설 2
1) 먼저 AI One Portal의 마일스톤을 설정하여 방향성과 목표를 합의하였습니다.

가설 3

4. UX 결과물

효과
후속 액션

효과
후속 액션

효과
후속 액션
5. 결론
